21.0℃미세먼지농도 좋음 5㎍/㎥ 2025-09-20 현재

정책제안

정책제안이란?

시에 대해 제도개선, 시책제안, 예산절감, 세입증대, 불편 및 고충사항 해결, 기타 발전방안 등의 정책적 제안을 하는 곳으로 다음과 같은 절차에 따라 운영됩니다.

※생활민원 및 건의사항 등은 시장에게바란다 또는 국민신문고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제안절차

제안하기→제안검토(관리자)→제안토론(30일간 50이상 공감시 제안심사)→제안심사(부서검토 및 제안심사위원회) →제안시행(소정의 부상지급)
문화/관광만료
조옥경
요즘 코로나19로인해 국내여행이 늘어나고 여행을 가족단위로 하다보니 가는 곳 마다 캠핑카와 텐트족들이 문전성시를 이루고있습니다.군산도 하구둑 및 새만금 공원에 캠핑카와 카라반 및 텐트를 치는 사람들이 주차장을 점거하여 바비큐 파티 등을 하면서 각종 쓰레기들로 공원을 훼손시키고 있습니다.그러다보면 민원이 들어가고, 지자체에서 강제로 공원을 폐쇄시키곤 한다고 들었습니다.그리고 아파트에 거주하는 캠핑카나 카라반 소유주들은 아파트에 주차를 못해서 공원 주차장에 장기간 주차해서 공원을 이용하는 시민들에게 민폐를 주고있습니다.텐트족들도 걷어가지 않고 주말에만 와서 사용하는 사람들이 자꾸생겨나고 있습니다.이런부분들을 지자체에서 선제적으로 관리해서 근대역사문화가 많은 군산을 캠핑족들의 메카로 만들어보는것은 어떨까요?캠핑 마니아들은 전국적으로 돌아다니면서 각 지역의 홍보대사 역할도 톡톡히 할수 있다는 장점이 있습니다.최근에는 간단한 구성으로 자유롭고 편리하게 훌쩍 떠날 수 있는 차박이 유행하면서 젊은사람들이 혼자서도 여행을 많이 떠나고 있습니다. 그리고 본인이 가본 장소의 사진과 느낌들을 SNS에 공유하고 다양한 사람들과 소통하지요. 이런점을 고려해서 군산에서 1박 캠핑 및 근대역사박물관 또는 철길마을 등의 관광지를 방문한 사진을 SNS에 올려서 추첨하는 이벤트 등을 하는 것도 좋은 홍보가될것같습니다.그리고 캠핑카들을 지자체에서 관리하면 공공일자리도 생기고 외지인들이 무단으로 버리고 가는 쓰레기도 처리되니 1석2조의 효과가 발생한다고 생각합니다. 차량 1대당 5000원의 주차요금을 받고 쓰레기 봉투를 무상으로 나눠주고 노인 일자리하시는 분들이 관리하는 방식으로 운영하는 방법을 제안합니다. 참고로 더 많은 캠핑족들의 애로사항을 들어보시려면 네이버에 "달구지 캠핑"을 검색해서 참고하실 수 있습니다.이상으로 제안을 마칩니다. 감사합니다.
2021-05-20~2021-06-19
찬성(39%)
반대(61%)
의견 5 조회 9855
7명 공감
문화/관광만료
김은중
안녕하십니까? 저는 군산이 고향인 40대 가장입니다. 평소에 건강관리에 힘쓰고 있어서 여러가지 운동을 하다가 자전거에 맛을들여 자전거를 열씸히 타고 있습니다(로드형)이번 연휴에 선유도로 자전거 라이딩을 갔습니다. 길이 익숙한 지라 길 찾는데 어려움이 없었습니다. 코스는 비응도 주차장에 주차- 수변도로(지금자동차 안다님)-야미도-신시도-무녀도-장자도-선유도-무녀도-비응도 이렇게 다녀왔고 선유도 해수욕장에서 해물짬뽕도 먹었습니다. 전체 거리는 50km정도 였습니다. 50km에 업힐이 없는 초급자코스로 느꼈습니다. 라이딩 하면서 제주도와 비슷한 느낌도 가졌고 '자전거 한국의 메카가 될 수도 있겠구나' 라는 생각도 들었습니다. 로드 바이크는 직선수변도로와 주도로 옆에 자전거도로,MTB를 탄다면 거기 비포장 산길을 잘 개발한다면 라이딩코스 거리도 늘어나고 오는 사람들도 많을 것이라 생각했습니다. 그래서 제 고향 군산이 자전거 관광의 메카가 될수 있는 제안을 두개 드립니다.. 주도로만 다니면 거리가 좀 짧습니다. 거리가 짧다는건 선유도 지역에 머무는 시간(무언가를 소비할 시간)이 짧다는 이야기 입니다. 자전거 코스를 늘이기위해서는...자전거 코스를 제주도 일주도로와 같이 파란페인트를 칠해 놓던지 아니면 선유도, 무녀도, 신시도의 주변도로에 자전거 코스라는 이정표를 만들어 놓으면 장자도와 선유도만 들리고 가는 관광객들이 구석구석 돌아보면서 소비하는 시간이 늘어날 것으로 생각됩니다... MTB 코스역시 주변산을 개발해서 이정표를 만들어놓는다면 좋은 관광상품이 될것 같습니다. 또다른 하나는 새만금방조제에 자전거길을 구분할수있게 탄력봉이나.. 아님 제주도 일주도로 옆에 고정형볼라드같은 장애물을 두어서 자전거길과 찻길을 구분해 놓는다면.. 정말 굉장한 관광상품이 될 것으로 생각됩니다..
2020-10-06~2020-11-05
찬성(100%)
반대(0%)
의견 2 조회 7469
6명 공감
문화/관광만료
신상길
2020-10-12~2020-11-11
찬성(100%)
반대(0%)
의견 5 조회 8943
6명 공감
문화/관광만료
이준호
동령길 짬뽕거리 장미축제를 제안합니다. 군산에 짬뽕거리가 있다는 것을 아시나요? 대부분 군산시민들은 잘 모를 것입니다. 그나마 아시는 분들도 이름만 짬뽕거리 일 뿐 짬뽕집도 몇 개 없다는 것을 아실 겁니다. 아! 짬뽕축제도 코로나19상황 때문에 비대면으로 진행되기는 했습니다만...특색있는 거리, 골목상권을 활성화 시키는 것과는 거리가 멀었던 것이 아니었나 생각이 듭니다. 동령길의 동 명칭은 장미동입니다. 장미동 간이터미널도 있었구요. 역발상이긴 한데, 짬뽕을 메인으로 내세우지 말고 장미동의 명칭을 활용해서 장미축제를 메인으로 하고 짬뽕을 부대행사로 하면 어떨까 싶습니다. 요즘의 대세는 그린과 무조건 셀카입니다. 동령길의 거리환경도 개선하고, 가게마다 집집마다 장미를 심고 가꾸고, 장미터널도 만들고...자연을 소재로 하는 축제는 망하지 않는다는 속설이 있습니다. 장미로 예뻐진 거리에 짬뽕을 토핑처럼 얹는다면 대박나지 않을까요? 7층짜리 일성빌딩 같은 곳은 중국음식을 층별로 맛볼 수 있는 도장깨기 하듯이 짬뽕타워라고 부르는 이벤트로 활용해도 될 것 같구요...그리고, 중국춘절에 한두집은 불이난다는 폭죽놀이와 불꽃놀이로 시끌벅적하게 짬뽕거리를 만드는 것은 어떨까요? 생각을 함 바꿔보시는 것은 어떨까요? 짬뽕거리 장미축제로요!
2021-07-14~2021-08-13
찬성(71%)
반대(29%)
의견 4 조회 9313
5명 공감
OPEN 공공누리 공공저작물 자유이용허락-제4유형(출처표시 + 상업적 이용금지 + 변경금지)

군산시청 소룡동 행정민원계에서 제작한 "정책제안"저작물은 "공공누리 제4유형"에따라 이용 할 수 있습니다.

제4유형: 출처표시+상업적 이용금지+변경금지
  • 출처표시
  • 비상업적 이용만 가능
  • 변형 등 2차적 저작물 작성 금지
※ 공공누리 마크를 클릭하시면 상세내용을 확인 하실 수 있습니다.
콘텐츠 관리부서 소룡동 행정민원계
담당전화 063-454-7793
최근수정일 2024-02-01

열람하신 정보에 대해 만족하십니까?

정보만족도조사

[54078] 전북특별자치도 군산시 시청로 17 (조촌동, 군산시청) 대표전화 063-454-4000

군산시 홈페이지는 운영체제(OS):Windows 7이상, 인터넷 브라우저:IE 9이상, 파이어 폭스, 크롬, 사파리에 최적화 되어있습니다.

본 홈페이지에 게시된 이메일 주소가 자동 수집되는 것을 거부하며, 이를 위반시 정보통신망법에 의해 처벌됨을 유념하시기 바랍니다.